Q: 헝다 부채 문제가 리먼사태처럼 세계적 문제가 될 수 있는가?
A: 우선 살펴볼 사항 헝다 문제의 본질: 단순 유동성 문제 V.S. 기업의 본질적 문제 -> 기업의 본질적 문제
A: 높은 LEVERAGE 사용 -> 원자재 가격 상승 & 공동부유 정부 압박 -> 결과적 부도
A: 그러나, 중국은 막강한 조롱경제로 조절 가능,
A; 그러나, 미국은 리먼 사태 이후 stress test 꾸준히 실행, 파월은 경제의 선순환 구조 유지 (금리인상 어차피 1년 걸림)
Q: 헝다 부채 문제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?
A: 11월 이후, 확진자수 감소, 고용지표 상승 -> 경제 상승 -> 외국 투자자들이 신흥국 투자가 곧 이어질 것으로 판단
A: 11월 이후, 외국 투자자들이 신흥국 투자가 곧 이어질 것으로 판단
*** 본질적으로 살펴볼 사항
Q: 10 국체 금리 인상 -> 리스크 온 -> 주식 가격 상승 인줄 알았으나 -> 그러나, 윈/달러 상승 -> 기존의 해석 불가능
A: 우리나라 주식 & 채권 (기조)-> 미국과 연관성이 높음 -> 기업의 속성이 미국과 테그(기조)
A: 우리나라 환률 (경제, 정책) -> 2010년 이후 중국 연관성이 높음 -> 경제의 체질이 중국과 테그(제조업)
Q: 우리나라 금리는 어떻게 봐야 하나?
A: 시장 금리는 미국과 연동 되어 있으나, 국내 경제 자립도가 증가 하여,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금리 인상 기조
Q: 우리나라 반도체 2차전지 등의 섹터들의 미국과 중국과의 연관 관계?
A: 우리나라 첨단 산업은 이제 미국 중국과 독립 되어 있음, 반도체, 전기차는 기업의 선택에 달렸음.
A: 우리나라가 불리한 샌드위치 인가? 아니면 유리한 박쥐 사항인것인가? 아직 모름
Q: 우리나라 대기업 규제는 어떻게?
A: 미국 중국 둘다 반독점법으로 규제하기 시작 -> 이미 돌이킬수 없는 기조 -> 기존의 성장 모멘텀 훼손
A: 새로운 생장성 방향성을 찾아야 함 -> 기업이 미리 대비 했어야 함 -> 이미 그렇게 했는가?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F1NrLlJocdw
'Top-down 시장 분석 > 중국시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.03.19 중국 시장 분석(이철, 신혜리) (0) | 2023.03.19 |
---|---|
2022.09.18 중국 시장 분석(관치금융분석) (0) | 2022.09.18 |
2022.08.29 중국 시장 분석(빅테크 전문가 의견 종합 모음) (2) | 2022.08.29 |
2021.12.28 중국 시장 분석 (경우의 수) (0) | 2021.12.28 |
2021. 12. 28 중국 시장 분석(미국 반독점 규제사례) (0) | 2021.12.27 |